로그프레소-소풍벤처스, ESG 스타트업 위한 AI 기술 협력 체결

로그프레소(대표 양봉열)는 소풍벤처스(대표 한상엽)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스타트업을 위한 인공지능(AI)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7일 밝혔다.

로그프레소는 소풍벤처스가 육성·투자 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AI 기술 교육과 각사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분석, 인프라 구축 컨설팅을 제공한다. 로그프레소 솔루션을 일정기간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도 제공한다.

양봉열 대표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스타트업이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협업할 것”이라며 “더 많은 ESG 스타트업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상엽 대표는 “소풍이 투자하는 초기 스타트업에 로그프레소의 AI 기술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후위기 등 환경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강소기업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로그프레소는 빅데이터 전문 기업이다. 범용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로그프레소 엔터프라이즈'와 보안 운영 자동화 플랫폼 '로그프레소 마에스트로' 등을 고객사에 공급한다. 130여개 이상 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소풍벤처스는 임팩트 투자사다. 2008년 설립 이후 90곳 이상의 기업을 발굴했다. 총 1조원 이상의 기업 가치를 창조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임중권기자 lim9181@etnews.com

https://www.etnews.com/20211105000070

둘러보기

더보기

로그프레소-브릿지디, 일본 클라우드 보안관제 시장 공략 '맞손'

인공지능(AI) 플랫폼 전문기업 로그프레소(대표 양봉열)는 일본 보안 솔루션 기업 '브릿지디(BRIDGED)'와 '일본 클라우드 보안관제 시장 공동 공략'을 위한 업무협력 양해각서를 교환했다고 13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일본 클라우드 통합보안관제시스템(SIEM) 시장 공략을 위해 공동 협력한다. 이 과정에서 관련 서비스 선두 기업으로 도약하고, 일본 시장에 최적화한 서비스를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관련 신사업 발굴에도 힘쓴다. 구동언 로그프레소 상무는 “브릿지디를 통해 일본 시장 공략 과정에서 일본 고객의 요구사항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며 “그동안 금융과 반도체, 화학, 정유 등 여러 산업군에서 쌓아온 경험을 일본 시장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타카하시 코타로 브릿지디 대표는 “로그프레소는 한국 사이버 보안 시장에서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여줬다”며 “양사 협약을 기점으로 일본 클라우드 보안관제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3년 출범한 로그프레소는 빅데이터 전문 기업이다. △범용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로그프레소 엔터프라이즈' △통합로그 분석 솔루션 '로그프레소 스탠더드' △정보보호 통합 플랫폼 '로그프레소 소나' △보안 운영 자동화 플랫폼 '로그프레소 마에스트로'를 출시했다. 업종별 전문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130여개 이상의 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브릿지디는 사이버 보안솔루션 전문 유통업체다. 히타치와 소프트뱅크, 도호쿠전력 등을 고객사로 보유했다. 임중권기자 lim9181@etnews.com [https://www.etnews.com/20210913000076](https://www.etnews.com/20210913000076)

2021-09-13

[긴급] 로그프레소, 로그4j 버전1과 버전2서 추가 발견된 취약점 긴급 대응

로그프레소(대표 양봉열)는 추가 발견된 ‘로그4j’ 취약점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앞서 배포한 스캐너 기능을 업그레이드했다고 18일 밝혔다. 최근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아파치소프트웨어재단의 자바 기반 로깅 라이브러리 ‘로그4j’에서 추가 취약점이 발견됐다. 추가된 취약점은 로그4j 2.15에서 발생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1-45046)과 로그4j 1.2에서 발생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1-4104)이다. 취약점의 위험성을 0~10점으로 평가하는 CVSS에서는 로그4j 1은 6.6점을 받았으며, log4j 2는 10점을 기록했다. 로그프레소는 로그4j 2.X 취약점을 해결하고, 로그4j 1.2의 취약점을 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업그레이드해 신속하게 배포하고 있다. 최신 버전의 스캐너를 사용하면 자신의 시스템이 로그4j를 사용하는지, 사용한다면 취약점이 발견된 버전인지 확인 가능하다. 한편 로그프레소는 가장 최신(12월 17일)에 공개된 QOS사의 ‘로그백(logback)’ 제품에서 발생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1-42550) 대응을 위해 취약한 버전을 탐지할 수 있는 기능까지 추가했다. ‘로그백’은 log4j 와 더불어 널리 쓰이는 로깅 라이브러리다. 양봉열 로그프레소 대표는 “국내에서 구버전인 로그4j 1.2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에도 어떠한 버전을 쓰고 있는지조차 확인하기 어려워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로그4j 버전 1 및 로그백 취약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규 버전 스캐너를 사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로그프레소는 지속적으로 스캐너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며 깃허브를 통해 배포하고 있다.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704](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704)

2021-12-18

'K-정보보호' 드림팀 모였다…엘에스웨어·워터월시스템즈·로그프레소

정보보호솔루션 기업 엘에스웨어(대표 김민수)와 워터월시스템즈(대표 이종성), 트리니티소프트(대표 김진수), 로그프레소(대표 양봉열)가 최근 해외시장 동반 진출을 위한 협의체를 결성하고 컨소시엄 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참여사들은 협약을 통해 △세계 정보보안 시장 공동 진출 △소프트웨어 품질 경쟁력 강화와 현지화를 위한 노력 △서버보안솔루션과 취약점 관리솔루션 해외 시장 공략 △내부정보·개인정보 유출방지솔루션 공급 △시큐어코딩솔루션과 통합로그분석·관제솔루션 글로벌 시장 공략 등을 추진키로 했다. 4개사는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가 주관한 '해외시장 동반진출 협의체' 지원 사업을 통해 해외 활동 지원을 받는다. 4개사는 각사 솔루션 현지화 작업, 해외 인증작업을 추진하는 한편, 해외 파트너사 대상 온·오프라인세미나를 준비 중이다. 김민수 대표는 “인도네시아 수출을 시작으로, 국내 정보보호기업과 동반 진출을 통해 현지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협력 기업과 해외진출을 통해 큰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앞서 회사는 2018년 인도네시아 국영기업 수코핀도(Sucofindo)와 정보보호솔루션 공급 파트너계약을 맺은 바 있다. 컨소시엄 관계자는 “참여사들은 기업 간 해외시장 진출에 대한 정보와 현지 영업 리소스를 공유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해외진출 활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엘에스웨어는 서버 보안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다. 오픈소스와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분야 연구개발(R&D)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회사는 지난해 과기부 지정 우수연구소다. 지난 5월에는 금융위원회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프로젝트' 대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해외 시장에서는 서버 보안 소프트웨어(SW) 수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분야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3년 출범한 로그프레소는 빅데이터 전문 기업이다. 범용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로그프레소 엔터프라이즈'와 보안 운영 자동화 플랫폼 '로그프레소 마에스트로' 등을 고객사에 공급한다. 130여개 이상 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워터월시스템즈는 내부정보유출방지(DLP) 솔루션사다. 트리니티소프트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전문 기업이다.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 솔루션 '코드레이 엑스지(CODE-RAY XG)'를 보유했다. 임중권기자 lim9181@etnews.com [https://www.etnews.com/20210823000060](https://www.etnews.com/20210823000060)

2021-08-23